디지털 플랫폼 사칭 보이스피싱 예방 수칙
주요 사칭 플랫폼
- 쇼핑몰 (쿠팡, 11번가, G마켓 등)
- 배달앱 (배달의민족, 요기요 등)
- SNS 플랫폼 (카카오톡, 인스타그램, 페이스북 등)
- 간편결제 서비스 (토스, 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 등)
- 중고거래 플랫폼 (당근마켓, 번개장터 등)
- OTT 서비스 (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 등)
사칭 수법 특징
1. 결제 오류/환불 빙자
주문 확인, 결제 오류, 환불 처리 등을 빙자하여 접근
10:42
"안녕하세요, OO쇼핑몰 고객센터입니다.
고객님 주문하신 상품의 결제가 비정상적으로 처리되어 연락드렸습니다."
2. 계정 보안 문제 언급
해킹, 개인정보 유출, 계정 정지 등의 문제를 언급하며 불안감 조성
10:42
"고객님의 OO계정에 비정상 로그인이 감지되어 보안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."
3. 인증/확인 요구
- 본인인증 코드 요구
- 결제 정보 재확인 요청
- 앱/링크 설치 및 클릭 유도 (특히 출처를 알 수 없는
.apk
파일 형태의 악성 앱 설치 유도)
4. AI 기술 악용
AI를 이용한 목소리 변조, 자동화된 챗봇을 통한 접근 시도 등 더욱 정교한 사칭 수법이 등장하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익숙한 사람의 목소리를 흉내 내거나, 그럴듯한 안내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신뢰를 얻으려 합니다.
예방 수칙
기본 원칙
- 디지털 플랫폼은 전화나 문자로 결제 정보, 비밀번호, OTP 등을 직접적으로 요구하지 않습니다.
- 문자나 전화, SNS 메시지 등으로 받은 출처 불명의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. 의심스러운 경우, 해당 서비스의 공식 웹사이트 주소를 직접 입력하거나 공식 앱을 통해 접속하세요.
- 모든 거래 및 계정 관련 확인은 반드시 해당 플랫폼의 공식 앱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진행하세요.
의심 전화/문자/메시지 대응법
-
갑작스러운 결제 문제, 계정 문제, 이벤트 당첨 등의 안내는 일단 의심하세요.
- 해당 플랫폼의 공식 고객센터(앱/웹사이트에 명시된 번호)로 직접 문의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합니다.
- 앱 내 알림이나 주문/결제 내역을 직접 확인합니다.
-
출처 불명의 링크 클릭 및 앱 설치 요청은 단호히 거절하세요.
- 문자, 메신저, 이메일 등으로 온 링크는 클릭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.
- 특히, '보안 강화', '앱 업데이트', '특별 혜택' 등의 명목으로 출처 불명의 앱(특히
.apk
파일)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 절대 응하지 마세요. 앱은 반드시 공식 앱스토어(구글 플레이스토어, 애플 앱스토어)를 통해 직접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해야 합니다.
-
본인인증 코드(인증번호)는 절대 타인에게 알려주지 마세요.
- 어떤 경우에도 전화, 문자, 메신저 등으로 본인인증 코드를 요구하면 100% 사기입니다.
- 인증번호를 타인에게 넘겨주는 것은 내 계정의 접근 권한을 넘겨주는 것과 같습니다.
디지털 보안 강화
-
앱/소프트웨어 정기 업데이트 및 공식 채널 이용
- 사용 중인 운영체제, 웹 브라우저, 백신 프로그램 및 각종 앱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고, 업데이트는 공식 스토어나 개발사 웹사이트를 이용합니다.
-
계정 보안 강화
- 각 플랫폼별로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비밀번호를 사용하고, 주기적으로 변경합니다.
- 가능하면 2단계 인증(MFA, Multi-Factor Authentication) 또는 다중 인증을 반드시 설정합니다.
- 생체인식(지문, 얼굴) 로그인 기능을 적극 활용합니다.
-
결제 알림 서비스 활성화 및 한도 설정
- 결제 발생 시 즉시 문자나 푸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.
- 간편결제 서비스 및 신용카드에 합리적인 결제 한도를 설정하여 만일의 경우 피해를 최소화합니다.
신고 방법
- 해당 디지털 플랫폼 고객센터: 가장 먼저 사칭이 의심되는 플랫폼의 공식 고객센터를 통해 신고합니다.
-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 (ECRM): https://ecrm.cyber.go.kr 또는 112
- 금융감독원 불법금융신고센터 (보이스피싱 등): 국번없이 1332
- 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 (스팸, 피싱, 악성코드 등): 국번없이 118 또는 https://www.kisa.or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