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이스피싱 법적 대응 프로세스
보이스피싱 피해에 대한 법적 대응은 수사 과정과 민사적 피해 회복 과정으로 나뉩니다. 각 단계별 진행 사항과 준비해야 할 것들을 알아보세요.
1. 수사 절차의 이해
수사 진행 절차
-
경찰 신고 접수
- 경찰서 직접 방문 또는 112 신고
- 사이버안전국에 온라인 신고 가능
-
사건 배당 및 조사
- 지구대 접수 후 수사팀 배당
- 금융범죄수사팀 또는 사이버수사팀 배정
-
피해자 진술 청취
- 상세한 사기 경위 진술
- 증거자료 제출 (통화/문자 기록, 이체 내역)
-
계좌 추적 및 용의자 수사
- 계좌 추적을 통한 자금 흐름 분석
- CCTV, 통신 기록, 인출 내역 등 확인
-
검찰 송치 및 기소
- 수사 완료 후 검찰 송치
- 검찰의 기소 여부 결정
-
재판 진행
- 형사 재판 진행
- 필요 시 증인으로 출석
피해자의 역할
-
정확한 정보 제공
- 사기 수법, 날짜, 시간, 금액 등 상세 정보
- 사기범의 말투, 특징 등 기억나는 정보
-
증거 자료 확보
- 통화 녹음, 문자메시지, 메신저 대화 내용
- 계좌이체 증빙자료
- 사기범이 사용한 전화번호, 계좌번호
-
조사 협조
- 수사관의 추가 조사 요청에 협조
- 필요 시 추가 자료 제출
2. 피해금 환급 절차
공식 피해구제 절차
-
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한 피해구제
- 사기이용계좌 지급정지 신청 (금감원)
- 지급정지된 계좌에 잔액이 있을 경우 환급
-
피해환급금 신청
- 범행계좌 지급정지 후 소멸시효(5년) 내 신청
- 금융회사에 피해환급금 지급 신청서 제출
-
분배 절차
- 피해자가 다수일 경우 잔액에 따른 비례 분배
- 피해금 전액 환급이 어려울 수 있음
민사적 해결 방법
-
민사소송 제기
- 가해자가 특정된 경우 손해배상청구 가능
- 판결 이후 강제집행 절차 진행 가능
-
지급명령 신청
- 간이한 절차로 법원에 신청
- 상대방이 이의제기 안하면 확정판결과 동일 효력
-
소액사건 심판
- 3천만원 이하 소액사건 절차 활용
- 신속한 절차 진행 가능
3. 법률 지원 서비스 활용
무료 법률 상담
-
법률구조공단
- 대표전화: ☎ 132
-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 등 무료 법률구조
- 일반인도 초기 상담 무료 이용 가능
-
법률홈닥터
- 법무부 운영, 취약계층 법률서비스
-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신청
-
대한변호사협회 법률상담센터
- 초기 무료 상담 서비스
- 지역 변호사회 연계
형사 절차 무료 지원
-
법률구조공단 범죄피해자 지원
- 형사사건 피해자 무료 법률지원
- 법률상담, 형사절차 참여, 배상명령 신청 등 지원
-
검찰청 범죄피해자 지원센터
- 법률적 조언 및 절차 안내
- 심리치료 등 연계
4. 보이스피싱 관련 법규
주요 처벌 법규
-
사기죄
- 형법 제347조, 10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
-
전자금융거래법 위반
- 전자금융거래법 제49조,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
-
정보통신망법 위반
- 타인 정보 도용 시 7년 이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 벌금